728x90

훈수 2

한국인들이 지혜를 얻는 방법 [ 훈수 ]

인지심리학자 김경일 교수님 1 나, 우리 0:50 -> 관계 주의 문화 ( 내가 아닌 우리가 나 ) -> 자기소개에서 관계를 쓰는 이유 2 ME vs WE 4:53 -> 나라는 자아보다 우리라는 자아가 더 똑똑하다 -> 바둑, 장기 등 묘수가 눈에 들어올 때 3 훈수 문화 5: 36 -> 훈수를 영어 표기로? -> 한국의 문제 해결 방식 - 훈수 -> 훈수를 하는 대상 4 최고의 지혜 9:23 -> 중요한 훈수를 하게 만드는 것 -> 사자의 법칙(아직도 멸종하지 않은 이유) -> 사자의 결정적 훈수 5 한국 마스코트 호랑이, 서양 마스코트 사자 12:45 -> 한국 사람과 비슷한 동물이 사자 -> 양쪽에서 서로 이해할 수 없는 행동을 한다. -> 원래 문화에서 지네들의 문화적 코드와 안 맞는 걸 마스코트..

행복이란 무엇인가? 아주대학교 김경일 교수

행복이란 무엇인가? 작은 행복 여러번이 더 좋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창의력이 발휘 될 때 우리는 훈수를 둘 때 신의한수가 생각난다. 너 새로운 아이디어 좀 가져와봐 ( x ) 너 이관계좀 도와 줘봐 ( 제 3자의 입장에서 생각) 우리는 제3자의 입장이 되었을 때 창의력 창의성 + 리더십 + 통찰력을 한사람의 능력이라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라 상황 이다. 제일 중요한 상황은 관계이다. 나를 우연하게 도울수 있고 작은것을 줄 수 있는 그것은 이타성이다. 내가 조금 손해를 보고 있지만 남을 도와주는 내가 손해를 보고 도와주지만 그사람들은 작은 것을 하나씩 나에게 준다. 그리고 훈수를 해준다. 이타성 : 자기의 이익보다는 다른 이의 이익을 더 꾀하는 성질. 2019년 2월 2일 추가 100의 행복을 1회에 나누어 ..

728x90